본문 바로가기

[좋은시, 시집추천, 시인추천, 시추천] 웹진 Nim님 2023년 11월호 Vol.29 -이달의 시인 최동호 시인 「저주받은 영혼의 살점」외

by 꾸꾸(CuCu) 2023. 11. 12.
300x250

저주받은 영혼의 살점

 

 

 

/최동호

 

 

 

니체의 영혼이 절대자 신의 저주로

어느 겨울 아침

누추한 육신을 떠나갔을 때

자라투스트라도 죽었다

 

위대한 천재가 죽은 다음

시인은 저주받은 영혼의 살점을 뜯어 먹는

하이에나이다

 

디지털 시대의 시인들의 시에서는

신은 이미 사라지고

영혼은 부패하고

썩지 않는 종이 냄새가 난다

 

 

 


파지만 날리는 밤

 

 

 

/최동호

 

 

 

아무것도 되지 않아 머리가 터져버릴 것 같은 밤

시 쓰기가 물방울 하나같다는 생각이 들 때가 있다

잉크 같은 물방울이 아니라 한지를 적시는 먹고 아니라

세상의 아픔이 떨어트리는 물방울 그 눈물방울로

견고한 바위에 구멍을 뚫는 것과 같을 것이다

 

자신에게 아무 불만도 없이

결여나 열망도 없이 무슨 시를 쓴다는 말인가

시가 되지 않아 머리가 터져머릴 거 같은 밤

청년 시절 지친 하루를 견디며 새벽까지 공부하다가

 

다 잠그지 않은 마당 수도꼭지에서

무거운 물방울이 떨어지는 소리를 듣다가

그대로 물방울이 얼어버리던 밤이 떠올라

아무것도 되지 않는 추운 날

 

파지만 날리고 있는 무거운 날

시의 문은 열리지 않고 닫힌 세계의 시 쓰기가

지하 광맥의 금을 채굴하는 것이 아니라

물방울 하나가 바위를 뚫는 것이라 생각하는 것이다

 

 

 


경이로운 빛의 인간

 

 

 

/최동호

 

 

 

석가의 위대한 깨달음은 말씀을 기록한 

경전에서 나온 것이 아니다.

윤회의 사슬을 벗기고 벗겨

생명의 씨가 번개의 숨결로 스쳐 간

 

궁극의 빛을 영원에서 발견하고

멸하지 않는 생명의 빛을 스스로 깨달은 것이다.

빛이었고 어둠이었고 광휘였던

그 깨달음은 생명이 빛이 잠시 머무는 순간

 

인간은 태어나고 사라진다는 것이다.

육신이 찢기고 거듭 죽었다가 태어나

생명의 근원을 발견한 석가가 도달한 궁극의 빛은

경전에 기록될 수 없는 찰나이다.

 

생명의 빛이 사라지면 경전은

폐지로 전락하고 말지만 구극의 빛을 성취한 인간,

석가는 그 생명의 광휘를 밝히고

경이로운 빛의 인간으로 중생을 구원한 것이다.

 

 

 


밥 알갱이

 

 

 

/최동호

 

 

 

 

쪽방 사람

 

술집 뒷골목

 

오줌 지린 길바닥 비추는 겨울 햇살

 

밥 알갱이 하얗다

 


가을비

 

 

 

/최동호

 

 

 

세상을 다 적실 수 없어도

 

마음 한구석 외로운

 

보푸라기 이는 먼지

 

쓸고 가는 몇 범 빗방울

 


시인의 말 

 

우리 시간의 상당수 시에서 서정이 메마르고 장황한 요설이 증폭되고 있다. 또는 난삽하고 기괴한 상상이 발동하기도 한다. 물론 이런 현상은 사회적 변동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디지털적 문화가 서정을 고갈시키고 인간성을 말살시키고 있다는 생각도 든다. 인공지능이 시를 쓰기 시작한 오늘 과연 시가 무엇일까 고민하지 않을 수 없다. 인간과 기계적 상상 사이에 시가 새로운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최동호 시인은 경기도 수원 출생으로 고려대학교에서 공부했으며 일본 와세다대학, 미국 UCLA 등에서 동서비교시를 연구. 1976년 시집 『황사바람』을 통해 시인으로, 1979년 <중앙일보> 신춘문예로 평론가 등단. 시집 『공놀이하는 달마』외 다수

 



시인은 서정의 고갈에 대해 고민하고 고뇌하고 풍자하고 비판하지만 사실 서정은 쉽게 죽지 않는다. 서정에 대한 수 많은 위기론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지만 서정은 어디선가 계속 꿈틀거리고 자신의 자시를 굳건히 지키고 있다. 다만 그것이 기존의 서정이 아니라 익숙하지 않은 서정으로 다가 올때가 있고 그렇다면 그것은 독자에게 변화가 촉구 되는 것인지도 모른다. 중요한 것은 서정은 죽지 않는다.

300x250

댓글